본문 바로가기

관광의 재접근/관광문화 콘텐츠

[관광] 두바이 엑스포 2020 / 라스베이거스를 '마이스 도시'로 만든 셸던 아델슨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구독해서 보고 있는 두바이엑스포, 샌즈그룹의 셸던 아델슨 관련 한국경제 기사를 정리합니다. 


1. 엑스포 170년 역사상 첫 중동 개막…두바이에 세계 192개국 모인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1년 연기된 ‘2020 두바이 엑스포’가 오는 10월 1일 개막해 내년 3월 31일까지 182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간다. 국제박람회기구(BIE)가 주관하는 엑스포가 중동과 아프리카, 남아시아(MEASA) 지역에서 열리기는 170년 엑스포 역사상 두바이 엑스포가 처음이다.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 두바이 왕세자는 이달 초 공식 연설을 통해 “엑스포를 안전하게 열기 위한 모든 준비를 끝냈다”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두바이 엑스포가 세계가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는 계기이자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192개국 참가…200여 개 전시관 운영


두바이 엑스포의 주제는 ‘마음의 연결, 미래의 창조’다. 이 주제를 구체화한 ‘기회’와 ‘이동성’ ‘지속가능성’ 등 소주제는 200여 개 전시관과 60여 개 엑스포 프로그램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다. 축구장 400개 규모인 438만㎡의 제벨알리 엑스포 행사장도 이 세 가지 키워드를 기준으로 구역을 나눴다.

엑스포의 대표 콘텐츠인 전시관은 크게 국가관과 파트너관, 국제기구관, 특별관으로 나뉜다. 주제관 성격의 특별관은 여성과 기회, 이동성, 지속가능성 등 3개 소주제별 전시관을 선보인다. 이 가운데 이동성(모빌리티관)과 지속가능성(서스테너빌리티관)은 애플 본사를 설계한 포스터+파트너스 디자인, 그림쇼 건축디자인 등 세계적 명성의 건축회사가 디자인해 두바이 엑스포의 시그니처관으로 꼽힌다.

두바이 엑스포에는 세계 192개국이 참가해 독립 전시관을 마련했다. 69회째 열리는 엑스포에서 참가국이 모두 개별 전시관을 설치, 운영하는 건 두바이 엑스포가 최초다. 국가관은 주제와 콘셉트에 따라 기회와 이동성, 지속가능성 등 3개 구역으로 분산 배치했다. ‘스마트 코리아, 한국이 선사하는 무한한 세상’을 테마로 한 한국관은 이동성 구역에, AI(인공지능)를 주제로 한 영국관은 기회 구역, 에너지와 바이오 기술의 미래를 다룬 독일관은 지속가능성 구역에 들어서는 식이다.


 티켓 판매 개시…온라인 관람 준비 중


코로나 팬데믹 시대상을 반영한 아이디어 제품도 선보인다. 사회적 거리가 유지되지 않을 때 자동으로 경보가 울리는 웨어러블기기인 ‘세이프 디스턴스’, 손 대신 발로 페달을 밟는 급수시스템 ‘마지 버스킷’ 등이다. 가까운 미래에 인류 생활양식의 변화에 커다란 영감과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는 아이템들이다.

지난해 9월부터 디지털화와 교육·기술, 건강·복지, 물·위생, 생계보호 등 5개 영역에 걸쳐 시행한 아이템 공모에는 78개국에서 318개 아이디어가 접수됐다. 과거에도 엑스포에서는 이런 방식을 통해 기차와 TV, 엑스레이, 축음기, 케첩, 콘아이스크림, 모바일폰 등이 처음 소개됐다.

조직위는 350억달러(약 40조원)가 투입된 이번 엑스포에 2500만 명이 방문해 330억달러의 경제효과와 30만 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가별로 백신 접종이 늘면서 백신여권, 트래블버블(여행안전권역) 등 여행 재개 조치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두바이 엑스포는 지난 18일 세계 100개국 2500여 개 공식 판매처를 통해 입장권 온라인 판매를 시작했다. 입장권은 1일권 기준 26달러, 30일간 사용이 가능한 2일권은 53달러다. 18세 미만, 60세 이상은 입장이 무료다.

조직위는 최근 열린 가상 글로벌 미디어 브리핑에서 “코로나19로 여행에 제약이 따르는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에서도 엑스포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엑스포 170년 역사상 첫 중동 개막..두바이에 세계 192개국 모인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1년 연기된 ‘2020 두바이 엑스포’가 오는 10월 1일 개막해 내년 3월 31일까지 182일간의 대장정에 들어간다. 국제박람회기구(BIE)가 주관하는 엑스포가 중동과 아프리카, 남아

news.v.daum.net


2. 라스베이거스를 '마이스 도시'로 바꾼 카지노 재벌


지난 1월 87세로 타계한 미국 라스베이거스 샌즈그룹(LVS)의 셸던 아델슨 회장(사진)은 ‘카지노 재벌’로 유명하다. 라스베이거스와 마카오, 싱가포르에서 카지노 사업으로 40조원(약 359억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부를 축적한 사업 이력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그가 6·25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이라는 사실이 가려질 만큼 ‘카지노 대부’ 이미지는 강렬하다.

그런 그에게는 또 다른 수식어가 붙기도 한다. 가난한 이민자 가정 출신인 아델슨은 미국 사회에서 아메리칸드림의 상징적 인물로 꼽힌다. 약물중독자와 이민자를 위해 매년 수백만달러를 쾌척한 자선사업가, 사회적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선 사회운동가로도 불린다. 코로나19 사태 초기 라스베이거스가 마스크 부족 사태를 겪자 자비로 전세기를 띄워 중국에서 마스크를 공수해온 일화는 유명하다.

여기에 하나 더 있다. 라스베이거스를 비즈니스와 관광이 어우러진 마이스(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도시로 탈바꿈시킨 선구자라는 타이틀이다. 카지노 재벌이기에 앞서 아델슨은 성공한 전시컨벤션 기획자이자 전시장 운영자다.

1933년 리투아니아와 웨일스 출신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평생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10대 때 신문팔이와 사탕 장사를 시작으로 군인과 속기사, 부동산중개사, 대출상담사 등으로 활동했다. 평생 거친 직업만 어림잡아 50여 개에 달한다.

아델슨을 번듯한 사업가 반열에 올려놓은 건 40대 중반에 시작한 전시회 주최 사업이다. 1974년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자 그는 데이터통신 관련 잡지를 여럿 사들였다. 그리고 1979년 라스베이거스 MGM그랜드호텔에서 167개 회사를 모아 첫 행사를 열었다. 1990년대 최대의 전자박람회로 유명한 ‘컴덱스’다. 컴덱스로 큰돈을 번 그는 1988년 샌즈엑스포컨벤션센터를 건립하며 시설 사업으로 영역을 넓혔다.

1995년 컴덱스를 일본 IT(정보기술) 대기업 소프트뱅크에 8억6200만달러를 받고 넘긴 아델슨은 또다시 도전에 나섰다. 숙박과 쇼핑, 관광, 엔터테인먼트, 컨벤션 기능을 갖춘 복합리조트 개발이다.

낡은 샌즈호텔·카지노를 사들여 15억달러를 투입, 1999년 베네시안리조트를 완공했다. 복합리조트의 효시인 베네시안리조트의 성공으로 아델슨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을 카지노에서 컨벤션 중심으로 바꾼 게임체인저라는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지난 3월 샌즈그룹은 베네시안과 팔라조, 샌즈엑스포컨벤션센터를 62억5000만달러에 매각했다. 본사는 라스베이거스에 남아 있기로 했지만 사업은 사실상 철수한 것이나 다름없다.

샌즈그룹의 라스베이거스 자산 처분은 아델슨 사망 전부터 추진됐다. 아델슨은 오래전부터 마카오와 싱가포르,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관광·마이스 시장에 주목했다. 샌즈그룹이 최근 싱가포르에 33억달러 투자계획을 내놓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내년 6월 카지노 면허 갱신을 앞둔 마카오에도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상태다.

아델슨 회장이 살아 있었더라면 지금과 같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떤 사업을 구상하고 계획했을까. 추측만 가능할 뿐이지만, 생전에 그가 남긴 말에서 어렴풋이 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업은 버스와 같습니다. 모퉁이에 서서 기다린 첫 번째 버스가 마음에 안 들면 그냥 보내세요. 10분을 기다려 두 번째로 온 버스도 내키지 않으면 또다시 보내세요. 걱정하지 마세요. 버스는 또 올 겁니다. 버스나 비즈니스나 모두 끝이 없습니다.”

 

라스베이거스를 '마이스 도시'로 바꾼 카지노 재벌

지난 1월 87세로 타계한 미국 라스베이거스 샌즈그룹(LVS)의 셸던 아델슨 회장(사진)은 ‘카지노 재벌’로 유명하다. 라스베이거스와 마카오, 싱가포르에서 카지노 사업으로 40조원(약 359억달러)

news.v.daum.net

출처: 한국경제 마이스 뉴스 

 

 

한경닷컴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 성공을 부르는 습관

www.hankyun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