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과생 DT 정복기/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메타버스] 기본 이해하기 ① 등장배경, 개념, 특성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요즘 핫한 트렌디인 메타버스 등장배경, 개념, 특성에 관하여 공부했습니다. 자 메타버스에 관해 찬찬히 살펴볼까요? 


메타버스 등장배경 

1. 가상융합기술 성장 

▣ 산업계 위주 → 일상생활 접목 

경제사회와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산업계 위주로 활용되던 가상융합기술이 일상생활의 최첨단 기술로 등장하기 시작

▣ 디바이스 연산속도 증가 및 기술향상 

5G 서비스가 개시되면서 고해상도 콘텐츠 전송 속도가 크게 향상되고 HMD(Head Mounted Display) 등 디바이스 연산 속도 증가 및 기반 기술 대폭 향상

2. 접촉없는 연결 확산 

▣ 팬데믹으로 인한 거리두기 일상화 

비대면 문화 확산 및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관계 단절 속에 다양한 여가 형태가 양산되면서 새로운 문화 잉태

▣ 새로운 문화형태 형성

공연 문화계는 오프라인 공연 형태를 온라인에서 재현하는 것을 넘어 색다른 장르의 개척을 시도하면서 새로운 문화 형태 창출  

3. 콘텐츠 소비 변화 

주 소비층의 소비 패턴 변화

놀이와 경험을 중시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가상현실 속에서 여가시간을 소비하며 아바타를 통해 사람들과 교류하는 새로운 풍속이 등장하면서 생활상 변화 

▣ 현실과 가상을 연결하는 경험 증가 

현실의 일상생활을 현실에 가깝게 경험할 수 있는 메타버스에 열광하면서 메타버스 사용자가 폭발적 증가

 

메타버스 정의 

1.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이 합쳐진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를 뜻하는 버스(-verse)의 합성어로 1992년 출간된 소설 ‘스노 크래시’ 속 가상세계의 명칭인 ‘메타버스’에서 유래했습니다. 

2. 현실의 나를 대리하는 아바타를 통해 일상 활동과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3D 기반의 가상세계를 말합니다. 

3. 일상활동과 경제생활은 현실과 분리되는 것이 아닌 현실의 연장선상에서 일어나는 행위가 포함됩니다. 


"메타버스는 현실세계가 가상공간과 결합하여

마치 현실이 가상공간이 확장된 것"


 

메타버스 특성 

1. 주요관점 

▣ [기능] 정보검색(포털), 소통(SNS), 유희(게임) 기능과 요소 모두 통합

▣ [기술] 가상세계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개념 복합체

▣ [진화] 기존의 인터넷이 3D기반 진일보한 새로운 인터넷 출현

2. 메타버스 5C 특징 

▣ Cannon (세계관) : 메타버스 시공간은 설계자와 참여자들에 의해 채워지며 확장

▣ Creator (창작자) :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세계를 구축하는 창작자이자 동시에 이용자 

▣ Currency (디지털통화) : 생산과 소비가능, 가치를 저장/교환하기 위한 디지털 화폐가 통용

▣ Continuity (일상연장) : 일상이 일회성 체험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인생여정처럼 진행 

▣ Connectivity (연결) : 시공간을 연결하고, 사람과 사람(아바타)을 연결하고 현실과 가상연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총총 

출처: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방향, 정보처리학회지, ’21.3. 

아래는 함께 보시기에 좋은 글로 메타버스 유형과 행정 적용사례 관련 내용입니다.

▼▼▼

 

 

[메타버스] 기본 이해하기 ② 유형, 행정 적용 사례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지난번 메타버스 등장배경, 특성에 관하여 살펴봤습니다(아래 링크 참고). 이번에는 메타버스 유형과 행정 적용 사례에 대해 공부하겠습니다. 준비되셨나요?

yourforest17.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