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저는 서울에 내 집 마련을 목표로 부동산 공부 중에 있습니다. 지난번 '2030서울도시계획'과 '서울시 서북권 도시계획'에 대해 공부를 했습니다.
■ 동북권
제가 생각하는 2순위 지역인 동북권을 살펴보겠습니다. 이곳은 도심권(종로, 중구, 용산)과 동남권(서초, 강남, 송파, 강동)이 인접하고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뉴타운, 아파트 재건축, 대중교통체계 구축 등 동네 자체가 다시 리빌딩된다는 느낌이 있어서 정했습니다. 사실 이곳은 좀 낯선 곳이기도 해서 집중해서 정리할 예정입니다. 그럼 동북권 도시계획에 관심 있으신 분들 함께 하시죠~!!
1. 성동구
[특징] 성동구는 수도 서울 중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광진구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동대문구, 서쪽으로는 중구-용산구, 남쪽으로 한강을 경계로 강남구와 접하고있음
[지역생활권] 왕십리/행당 지역생활권, 마장/용답 지역생활권, 금호/옥수 지역생활권, 성수 지역생활권으로 나뉨
1) 성수 지역생활권 :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 특성
- 성수역과 건대입구역 일원 성수지역 중심이 입지
- 준공지역에는 인쇄, 자동차, 신발제조업 등이 운영
- 공장과 주거, 상업이혼재
- 한강, 중랑천, 서울숲 입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상부공원화) 예정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준공업지역도시재생사업추
- 준공업지역 및 녹지지역 비율 높음, 성수IT산업개발진흥지구
- 30년 이상 5층 미만 주거용 건축물(다세대주택) 다수 분포
2) 마장/용답 지역생활권 : 마장동, 사근동, 용답동
◎ 특성
- 광역교통 및 대중교통 양호
- 주요하천입지(중랑천, 청계천, 천변공원 입지)
- 대표적 판매시설 입지(마장축산물시장, 장안평자동차시장)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한양대학교 및 마장동 주변 특성 고려 주거지 관리
- 20대 인구비율 높고, 세대당 인구수 낮음, 인구감소추세
- 지구단위계획구역2개소, 도시개발사업구역1개소, 재개발사업 1개소 입지
- 대부분 5층미만 주거용 건축물 분포
- 1인당 공원면적 및 도서관 비율 높음
3) 왕십리/행당 지역생활권 :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 특성
- 왕십리 광역중심 입지(지하철 2,5호선, 분당선, 경의중앙선 통과)
- 대규모 복합시설(판매, 문화 등) 위치
- 주거지 다수 분포, 성동구청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왕십리 광역 중심 활성화
- 도매 및 소매업 ,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체 및 종사자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 1개소, 정비예정구역 7개소 입지
- 5층 미만 주거용 건축물(다세대주택) 다수 분포
4) 금호/옥수 지역생활권 :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 특성
- 대부분 공동주택으로 주거지역이 밀집, 다수의 대단위 재개발
- 한강에 접해있고, 생활권 내 근린공원 다수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한강접근성 강화, 조망명소 확충 및 생태환경 복원
- 성동구 대비 30대 및 5세 미만 인구 비율 높음
- 주거지역 및 녹지지역 주로 분포
- 지구단위계획구역 1개소, 정비사업 7개소 추진
2. 성북구
[특징] 1949년 동대문구에서 분구하였으며 서울성곽, 정릉, 간송미술관 등 다양한 역사문화자원 입지
[지역생활권] 정릉 지역생활권, 길음 지역생활권, 성북/동선 지역생활권, 장위/석관 지역생활권, 종암/월곡 지역생활권으로 나뉨
1) 정릉 지역생활권 : 정릉1~4동
◎ 특성
- 우이신설 경전철신설(2개 역세권 포함, 북한산 국문역, 정릉역)
- 북한산 국립공원, 정릉천 입지
- 국민대, 서경대 소재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자치구 대비 55세 이상 비율 높음
- 3~4인 가구가 49%로 가장 많은 비율 차지
- 교육서비스업 & 운수업 비중 높음
- 북한산국립공원으로인한 자연녹지지역과 주거지역으로 이루어짐
- 노후한 주거지역 정비위한 정비사업 추진
2) 길음 지역생활권 : 길음1~2동, 월곡1동
◎ 특성
- 동북선 경전철 계획(3개 역세권 포함)
- 지하철 4호선 통과
- 길음 재정비 촉진지구, 길음/월곡균형발전 촉진지구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길음 뉴타운, 미아월곡 균형발전촉진지구사업, 문화업무(쇼핑) 지하복합개발 뉴타운연계, 도심형주거조성
- 3~4인 가구가 53%로 가장 많은 비율
- 노후한 주거지역 정비 위한 다양한 정비사업 추진 중
- 주거용도 비율 높고, 공동주택(아파트) 비율 높음
3) 장위/석관 지역생활권 : 장위1~3동, 석관동
◎ 특성
- 동북선 경전철 계획(3개 역세권 포함)
- 세계문화유산 의릉, 한예종 등 역사문화자원 갖춤
- 지하철 1, 6호선, 경춘선 통과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1~2인 가구 44%, 3~4인 가구가 47% 가구구성 비슷
- 제조업, 도/소매업, 운수업 비중 높음
- 중저층 중심의 주거지역으로 이루어짐
- 장위재정비촉진지구 등 정비사업 추진
4) 종암/월곡 지역생활권 : 돈암1동, 종암동, 월곡2동
◎ 특성
- 동북선 경전철 계획(2개 역세권 포함)
- 지하철 4, 6호선, 경춘선 통과
- 고려대, 동덕역대 입지, 경희대, 카이스트 인접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최근 인구수 상승 추세, 성북구 대비 5세이상 29세 미만 인구 비율 높음
- 자치구 대비 제조업 비중 높고, 생활권 내 교육 서비스업 비중 높음
- 전부 주거지역으로 대부분,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구성
- 노후한 주거정비 위한 정비사업 추진중
5) 성북/동선 지역생활권 :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 특성
- 우이신설 경전철 신설(2개 역세권 포함, 성신여대입구역, 보문역)
- 지하철 4,6호선 통과
- 동선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 구역
- 성신여대 주변지역 지구단위계획 구역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자치구 대비 20~34세 거주비율 높음, 1~2인가구 56.5%
- 대부분 일반주거지역 구성
- 다양한 정비사업 추진 중
- 단톡주택 비율 높음
3. 광진구
[특징] 196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주거지 확장건설의 일환으로 중곡동 일원이 건설, 1995년 성동구에서 분구
[지역생활권] 중곡 지역생활권, 구의 지역생활권, 화양·능동 지역생활권, 자양 지역생활권으로 구성
1) 중곡 지역생활권 : 중곡 1~4동
◎ 특성
- 저층 주거지 밀집, 아치산변 단독주택 주거지 밀집
- 전통시장 및 특화거리(중곡제일시장, 면곡시장,중곡동 가구거리)
- 국립서울병원 종합의료 복합단지 조성 중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광진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 높고 인구 감소추세
- 도소매업, 제조업 사업체 및 종사자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3개소 입지,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5층 미만 주거용 건축물 많음
- 역세권 5,7호선, 우수한 대중교통망 구축
2) 화양/능동 지역생활권 : 군자동, 능동, 화양동
◎ 특성
- 대규모 공원 및 교육시설 입지
- 건국대, 세종대학교 입지
- 건대입구역, 군자역
- 지하철 2,5,7호선이 지나고 광역교통 및 대중교통 양호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대학가 특성을 고려한 주거지 관리
- 광진구 대비20,30대 인구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5개소, 재건축 1개소 입지
3) 자양 지역생활권 : 자양1~4동
◎ 특성
- 뛰어난 수변(한강변) 입지
- 건대입구역 주변 상권인접, 노룬산, 능동로, 자양골목시장 입지
- 저층 주거지 다수 분포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한강변 경관을 고려한 주거지 관리
- 최근 5년간 인구 감소, 연령별로 고른 분포
- 주거지역 및 녹지지역 분포
- 지구단위계획 2개소, 재건축 3개소
- 자양1,2,4동에 5층 미만 주거용 건축물(다세대주택) 분포
- 뚝섬한강공원, 건대 로데오거리 등 광역 여가시설 입지
4) 구의 지역생활권 : 구의1~3동 , 광장동
◎ 특성
- 풍부한수변공간 및 공원 녹지율 높음(아차산생태공원, 구의야구공원)
- 지하철 2,5호선, 광역교통 양호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아차산 및 한강 등 지여특성 고려 주거지 관리
- 복합문화거점 조성, 주요 자원간의 연계체계 강화
- 광진구 대비 19세이하 및 40대 인구비중 높음
- 주거지역 및 녹지지역 주로 분포, 자연경관지구 및 최고고도지구 일부 분포
- 지구단위계획구역 3개소, 정비예정구역 2개소 입지
- 한강변(광장동) 아파트 다수 분포
4. 강북구
[특징] 북한산국립공원이 입지하고 경기도는 고양시 덕양구, 북쪽으로 양주시와 인접함
[지역생활권] 미아 지역생활권, 수유 지역생활권, 삼각산 지역생활권, 번동 지역생활권으로 구성됨
1) 수유 지역생활권 : 우이동, 인수동, 수유2~3동
◎ 특성
- 우이-신설경전철 신설 (5개역세권 포함: 북한산우이역, 솔밭공원역, 4.19민주묘지역, 가오리역, 화계역)
- 지하철 4호선 입지(수유역)
- 수유지구중심 포함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강북구 대비 50세 이상 및 25~34세 비율 높음
- 1~2인 가구 47%로 가장 높고, 3~4인가구 45%로 구성
- 노후 주거지 내 정비사업구역 최근 해제
2) 미아 지역생활권 : 수유1동, 삼야옹, 미아동
◎ 특성
- 우이-신설경전철 신설 (4개역세권 포함: 화계역, 삼양역, 사양사거리역, 솔샘역)
- 지하철 4호선 입지(미아역)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강북구 대비 5유아-어린이 및 노인인구 비율 낮음
- 1~2인 가구 47%로 가장 높고, 3~4인가구 45%로 구성
- 노후한 주거지역 정비를위한 다양한 정비사업 추진 중
- 주거용도 비율 높고, 공동주택 비율 높음
3) 삼각산 지역생활권 : 삼각산동, 송천동, 송중동
◎ 특성
- 우이-신설경전철 신설 (2개역세권 포함: 삼양사거리역, 솔샘역)
- 동북선 경전철 계회(1개 역세권 포함)
- 지하철 4호선 입지(미아사거리역)
- 미아중심재정비촉진지구(미아지역 중심포함, 신규아파트단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20세 미만 및 35~49세 비율 높음
- 3~4인가구 48%, 1~2인가구 44%
- 다양한 정비사업 추진
- 아파트, 다세대(공동주택) 비율 높음
4) 번동 지역생활권 : 번1~3동
◎ 특성
- 동북선경전철 계획 (2개역세권 포함: 삼양사거리역, 솔샘역)
- 지하철 4호선 입지(수유역)
- 수유·번동지구단위계획구역(수유지구중심) 포함
- 아파트 단지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강북구 대비 35~44세, 노령인구 비율 높음
- 1~2인 가구 49%, 3~4인가구44%
-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강북구 내 가장 적고, 운수업 비중이 비교적 높음
- 번동2-1 주택재건축 구역 정비구역 해제
- 아파트, 다세대(공동주택) 비율 높음
5. 동대문구
[특징] 서울 동부 중앙에 위치하며, 남쪽은 성동구에 접하고 동쪽은 중랑구, 북쪽 성북구, 서쪽 종로구와 인접
[지역생활권] 청량리지역생활권, 이문/휘경/회기 지역생활권, 전농/답십리 지역생활권, 장안 지역생활권으로 구성
1) 장안 지역생활권 : 장안 1~2동
◎ 특성
- 서울시 차원의 장안평 자동차 산업 육성, 다수의 재건축사업지구 입지
- 면목선 경전철 사업, 동부화물터미널 개발 활발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미래형 교통체계 구축 및 자동차산업중심지 육성
- 도대문구 대비 세대당 인구수 높음, 20대 및 노인인구 비율 낮음
- 주거지역 주로 분포하나 장한평역 및 장안동 사거리 일대 상업지역 분포
- 지구단위계획구역 3개소, 정비구역 2개소
- 5층 미만 주거용 건축물(다세대주택) 분포
- 도심과 강남 연결 광역교통망 양호, 주택가 내부 도로폭 협소
2) 전농/답십리 지역생활권 : 전농 1~2동, 답십리1~2동
◎ 특성
- 다양한 전철 노선 통과(1호선 청량리, 2호선 신답, 5호선 답십리, 면목선 경전철 개통예정)
- 서울시립대학교 위치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세대당 인구 및 노인인구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2개소, 정비(예정)구역 7개소
- 5층미만 주거용 건축물(다세대 주택) 다수 분포
- 광역도로망 부족, 면목선 경전철 입지예정
3) 청량리 지역생활권 : 청량리동, 제기동, 용신동
◎ 특성
- 대중교통양호(1호선, 2호선-지선,경의중앙선통과, 동북선 경전철 예정)
- 청계천 인접, 홍릉근린공원 입지
- 전통 및 특화시장 다수 분포
- 동대문구청, 홍릉연구단지 등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청량리시장 일대 가로환경 개선
- 지구단위계획구역 1개소,정비(예정)구역 11개소
- 동대문구 대비 세대당 인구수 낮음, 노인인구 비율 높음
4) 이문/휘경/회기 지역생활권 : 이문1~2동, 회기동, 휘경1~2동
◎ 특성
- 대중교통양호(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동부간선도로 통과)
- 공원접근성 양호(중랑천, 배봉산 근린공원 등 입지)
- 경희대, 한국외국어대, 삼육대 등 대학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대학가 주변 주거환경 관리 및 가로활성화 유도
- 동대문구 대비 20대 인구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4개소, 주택재개발 6개소, 재정비촉진지구 1개소 입지
-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 40%분포, 중랑천변으로 공동주택 분포
6. 도봉구
[특징] 쌍문, 방학, 창, 도봉동의 14개 동으로 구성, 경기도는 양주와 의정부와 인접함
[지역생활권] 도봉, 쌍문, 초안산, 방학, 창동 총 5개 지역생활권으로 나뉨
1) 도봉 지역생활권 : 도봉 1~2동
◎ 특성
- 생활권 대부분이 도봉산으로 구성
- 동측에 중랑천, 서측에 도봉산 입지
- 지하철 1, 7호선 통과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창동상계 신산어과 연계한 콘텐츠/문화 산업 육성
- 인구감소 추이를 보이고 도봉구 대비 노인인구비율 매우 높음
- 지구단위계획 5개소, 주택재개발 2개소 입지
-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대부분 아파트
- 주거지 대부분 역세권 양호한 대중교통망 구축
2) 방학 지역생활권 : 방학 1~3동
◎ 특성
- 경기도 남부로 이어지는 수도 서울 관문
- 다양한 일자리와 쾌적한 주거지가 있는 생활권
- 양재, 우면일대 연구시설 집적(서울 R&D 중심지로 육성위한 계획)
- 풍부한 자연환경 보유(청계산, 우면산, 구룡산, 양재천, 여의천, 시민의 숲)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도봉구대비 중장년층 인구 비율 높음
- 용도지역은 녹지지역이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2개소 입지
-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대부분 아파트 유형
- 역세권 양호, 우이-신설 경전철 연장(예정)
- 서울시 대비 1인당 공원면적 비율 높음
3) 쌍문 지역생활권 : 쌍문1~2동, 4동
◎ 특성
- 쌍문근린공원 및 발바닥 공원 입지
- 덕성여대, 둘리뮤지엄 입지
- 우이-신설경전철 1개소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청소년 및 장년층 인구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1개소, 주택재건축 1개소 입지
- 10년 이하 건축물 다수 분포, 대배분 아파트 유형
4) 창동 지역생활권 : 창1동, 창4~5동
◎ 특성
- 지하철 1,4호선 통과
- 창동/상계 광역중심 입지
- 창동시장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창동민자역사 사업 정상화, 대규모 창업단지 조성(환승주차장 부지)
- 도봉구 대비 영유아 인구 비율 및 세대당 인구수 높음
- 창동 지역생활권 지구단위계획구역 4개소 입지
-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대부분 아파트 유형
5) 초안산 지역생활권 : 쌍문3동, 창2동, 창3동
◎ 특성
- 지하철 4호선(쌍문역) 통과
- 쌍문지구 중심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도봉구 대비 장노년층 인구 비율 낮음
- 주거지역 및 준공업지역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2개소, 주택재개발 1개소 입지
-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아파트 유형 다수
7. 중랑구
[특징] 서울 동북부 위치, 동쪽 경기도 구리, 북쪽 노원구, 남쪽 광진구, 서쪽은 중랑천 건너 성북구와 동대문구 인접
[지역생활권] 중화/묵동, 신내/망우, 면목 총 3개 지역생활권으로 구성
1) 신내/망우 지역생활권 : 신내 1~3동
◎ 특성
- 택지개발 사업으로 신내 1,2동 일대 공동주택 다수 분포
- 망우본동 일대 저층 주거지 분포
- 대규모 택지개발사업과 신내차량기지이전, 재개발 사업 등에 따른 도시환경변화 예상
- 북부간선도로, 경의 중앙선, 경춘선, 6호선 통과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중랑구 대비 19세 미만 인구 비율 높고 인구증가 추세
- 택지개발사업 3개소, 지구단위계획구역 1개소, 정비사업 2개소 입지
- 망우본동 5층 미만 노후 단독주택, 신내 1,2동 대규모 아파트 분포
- 1인동 공원면적 및 도서관 지표 높음
2) 면목 지역생활권 : 면목2동, 면목3·8동, 면목4동, 면목5동, 면목7동, 면목본동, 망우3동
◎ 특성
- 저층주거지 밀집 및 풍부한 자연환경 보유
- 중랑천에 접해있으며, 아차산, 용마산, 용마공원 등이 입지하여 있는 공원 녹지율 높음
- 광역교통 및 대중교통 양호(동일로, 용마산로 등 주요도로 통과, 용마터널 개통)
- 7호선 통과, 면목선 경전철 개통 예정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면목 봉제산업 등 특화산업 발굴 및 육성
- 면목천과 면목 유수지 합류부 생태공간 조성
- 인구감소 추세로 중랑구 대비 세대당 인구수 낮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2개소, 정비사업 6개소 입지
- 5층 미만 노후 단독주택 다수 분포
3) 중화/목동 지역생활권 : 묵1~2동, 중화1~2동, 상봉1~2동
◎ 특성
- 중랑천 및 봉화산 접근성 양호
- 지하철 6,7호선 경춘선, 경의중앙선이 지남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지구단위계획구역 3개소, 정비사업 3개소 입지
- 5층 미만 노후 단독주택 및 3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8. 노원구
[특징] 동측 불암산, 남서측으로 초안산, 북측으로 수락산 입지
[지역생활권] 마들, 상계, 노원, 중계, 하계, 월계, 공릉 총 7개 지역생활권으로 구성
1) 마들 지역생활권 : 상계1동, 상계8동, 상계9동
◎ 특성
- 대상지 내 상계근린공원, 갈말근린공원 입지
- 지하철 7호선 통과
- 수락산 디자인 거리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영유아 및 30대 인구 비율 높음
- 운수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3개소, 주택재건축 1개소 입지
-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아파트 유형 대부분
2) 상계 지역생활권 : 상계3~5동
◎ 특성
- 수락산, 불암산 도시자연공원 입지
- 지하철 4호선 통과
- 수락산 당고개 지구공원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세대당 인구수 및 노인인구 비율 낮음
- 재정비촉진지구 1개소, 지구단위계획구역 1개소 입지
-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대부분 아파트
3) 노원 지역생활권 : 상계2동, 상계6~7동, 상계10동
◎ 특성
- 지하철 7호선 노원역 통과
- 창동상계광역 중심 입지, 노원 문화의 거리(특화거리)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노원구대비 영유아 인구비율 낮음
- 지구단위계획 2개소, 주택재건축 1개소 입지
- 2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아파트 유형 대부분
- 노원역 일원: 동북권비즈니스 중심 조성
- 창동역 일원: 문화공연 인프라 및 창조산업 파크 구축
- KTX 동북부 연장선, GTX 노선 유치 및 복합환승센터 조성
4) 중계 지역생활권 :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
◎ 특성
- 불암산 도시자연공원 입지
- 중계동학원가 입지
- 동북선 경전철 1개소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노원구대비 청소년 및 중년층 인구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3개소, 주택재개발 2개소
- 대부분 건축물 10년이상 30년 미만, 아파트 유형 대부분
5) 하계 지역생활권 : 하계1~2동, 중계2~3동
◎ 특성
- 지하철 4호선(하계역, 중계역)입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을지병원 입지
- 동북선 경전철 1개소 입지(예정)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노원구대비 청소년 및 중년층 인구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2개소, 주택재개발 1개소 입지
- 건축물 10년이상 30년 미만, 대부분 주택유형 아파트
6) 월계 지역생활권 : 월계 1~3동
◎ 특성
- 지하철 4호선(월계역, 광운대역, 석계역)
- 월계 지구중심 입지
- 인덕대, 광운대 입지
- 동북선 경전철 1개소 입지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노원구 대비 30대 및 노인 인구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7개소, 주택재개발2개소, 주택재건축 8개소 입지
- 30년 이상 건축물 다수 분포, 대부분이 아파트 유형
7) 공릉 지역생활권 : 공릉 1~2동
◎ 특성
- 지하철 6,7호선(태릉입구역 6/7호선, 공릉역 7호선)
- 서울과기대, 서울여대, 삼육대, 육군사관학교 위치
◎ 관련계획 및 기초현황
- 노원구 대비 20대 인구 비율 높음
- 지구단위계획구역 3개소, 주택재개발 1개소 입지
- 20년이상 된 건축물, 아파트 대부분
- 서울시 대비 1인당 공원 면적 비율 높음
위와 같이 서울 어디에 집 사 할지를 알기 위해 동북권에 소재한 '성동구, 성북구, 광진구, 강북구, 동대문구, 도봉구, 중랑구, 노원구'를 살펴봤습니다. 검토 결과 저는 동북권은 '성동구(마장/용답, 왕십리/행당, 금호/옥수-반반), 성북구(성북/동선, 길음, 종암/월곡-반반), 광진구(화양/능동, 중곡-반반), 강북구(없음), 동대문구(장안, 이문/휘경, 회기), 도봉구(방학), 중랑구(신내/망우), 노원구(공릉, 중계)' 이렇게 나오네요. 메모하며 봤는데, 중요도를 따져 소거 작업에 해야겠습니다.
동북권 도시계획 정보를 얻으시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고자료: 2030서울생활권계획, 서울도시계획 (http://urban.seoul.go.kr/4DUPIS/index.do)
※ 함께보면 좋은 글
'지속가능 경제활동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 가구/직장인 서울에서 살(BUY) 수 있는 집 생활권별 비교 분석 (0) | 2020.07.12 |
---|---|
[부동산공부 #4] 서울(Seoul) 서남권-양천구, 영등포구, 강서구, 동작구, 구로구, 관악구, 금천구 도시계획 중심 (0) | 2020.07.10 |
[부동산공부 #2] 서울(Seoul) 어느 지역 집 사야 할까? 서북권-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도시계획 중심 (0) | 2020.07.08 |
[부동산공부 #1] 2030 서울(Seoul) 도시계획 요약 정리 (0) | 2020.07.06 |
매매대출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vs '보금자리론' 비교 (0) | 2020.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