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현재 제 집 마련을 목표로 부동산 공부 중에 있습니다. 집을 마련하는 목적은 현재 월세 생활 대비 집을 사서 갚게 되는 대출이자가 더 저렴하고 미래 주택연금(?)까지 고려하였을 때 더 낫다는 판단하에 매일 조금씩 저만의 부동산 공부법으로 추진해가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까지 정부/지자체 정책, 대출(디딤돌&보금자리론), 2030 서울 도시계획까지 살펴봤습니다. 결과 관심지역들이 생겼고 이번에는 관심 지역 중심으로 비교 분석할 예정입니다.
지역 분석은 1단계와 2단계로 나뉩니다.
[1단계] 부동산 가격과 대중교통 검토 후 현 상황에 가능 지역만 추출
1. 조사대상
- 앞선 도시계획 자료 바탕으로 관심지역 선별하였으며, 주요 지역은 '서북권의 은평구 전 지역, 서대문구(가좌, 충정), 마포구(아현) 포함 동북권, 서남권' 중심임
2. 부동산 가격
- 조사기간은 20년 7월 10일 '다음부동산' 사이트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각 지역별 아파트(3억 이하)와 빌라 가격(2억 이하) 기준은 본인에게 가능 여부를 판단한 후 설정한 값임(아파트는 무리라고 생각하나, 시세 파악 용도)
- 가격 검색 시 키워드는 지역생활권명이 '역'이름으로 검색이 되면 역이름으로 검색하였으며, 안 될 시는 '자치동 표의 맨 앞에 자리한 동의 이름으로 검색
- 표의 표시는 기준 가격 이하 매물이 있는지 여부만 판단함
3. 대중교통
- 해당지역별 지하철 '호선' 기입함
※ 검토 결과: 총 10개 지역으로 추려졌습니다. 다음 부동산을 보면서 느낀 점 서울에 부자가 정말로 많다는 것이고, 제가 살 수 있는 확률이 있는 지역이 있어서 다행이다라고 긍정적으로 생각 중입니다. 책 '돈의 속성'의 저자인 김성호 회장님의 말씀대로 돈은 중력이라고 생각하고 작은 것부터 잘 아낄 것입니다.
[2단계] 검토결과 추려진 10개 지역을 중심으로 아래 항목으로 자료를 수집 후 내 맘대로 끌리는 지역 5개를 선정해서 우선순위 세우기
4. 특징(개발계획, 명소 등)
- 부동산 가치 판단 및 장소의 매력도 기준
5. 주변환경
- 주거지로서 적합도 정도 파악
6. 인구분포
- 미래 부동산 가치 판단 기준
7. 인근대학
- 1인 가구/직장인의 경우 결혼 혹은 개인적 사유로 매입한 부동산에 살지 못하게 될 때 물건의 전환이 빠르게 이뤄져야 하므로 매매, 전세, 월세 등으로 돌릴 때 근처 대학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조사함
8. 내 맘대로 평가
- 개인적으로 끌리는 지역으로 평점 부여 최고 별 5개, 최하 별 1개
※ 검토 결과: 10개 지역을 살펴본 결과 아래와 같이 우선순위가 정해졌습니다. 고생한 보람이 있네요. 그간 정리하며 부동산에 대해 생각도 하고 마음의 결정도 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하하하 ^^
내 집 마련을 위한 지역 선별까지 마무리했습니다. 이제 찬찬히 관심 지역의 공인중개사 분들의 문을 두드려야겠습니다. 이렇게 부동산 공부는 일단락 지었습니다. 앞으로 좋은 물권을 찾기 위해 중심을 잡고 각종 정보들에 귀 기울이고 선별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향후 부동산 공부 계획은 부동산 트렌드, 관련 이슈들을 틈틈이 정리하며 올해 목표인 적정한 가격과 미래 가치에 부합, 잘 살 수 있는 내 집 마련이 되도록 발품을 시작해야겠습니다.
여러분의 꿈도 항상 응원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총총
※ 참고사이트
1. 다음 부동산, 지도 (https://realty.daum.net/)
2. 2030 서울 도시계획 포털 (http://urban.seoul.go.kr/4DUPIS/index.do)
■ 함께 보면 좋은 글
-
정부 정책
국토부/서울시 부동산 정책 and 관련 정부 사이트 모음
-
대출 관련
내게 맞는 부동산 대출 정부 site 활용해 찾는 방법
매매대출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vs '보금자리론' 비교
-
2030 서울 도시 및 생활권 계획
'지속가능 경제활동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헨리조지(Henry George) 사상과 정책에 대한 다른 두 가지 시선 (0) | 2021.01.27 |
---|---|
[부동산] 서울시 11만호 주택공급 TF 본격 가동 계획 발표 (0) | 2020.08.13 |
[부동산공부 #4] 서울(Seoul) 서남권-양천구, 영등포구, 강서구, 동작구, 구로구, 관악구, 금천구 도시계획 중심 (0) | 2020.07.10 |
[부동산공부 #3] 서울(Seoul) 동북권-성동구, 성북구, 광진구, 강북구, 동대문구, 도봉구, 중랑구, 노원구 도시계획 중심 (0) | 2020.07.09 |
[부동산공부 #2] 서울(Seoul) 어느 지역 집 사야 할까? 서북권-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도시계획 중심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