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10)
전 세계 Top 10 친환경 기업은?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코로나 19 시기를 보내면서 환경에 대해 관심이 생기다 보니 친환경 기업이 궁금했습니다. 친환경 기업들이 앞으로 우리 삶의 방향을 알려줄 것 같기도 했고요. 그래서 습관적으로 구글에 질문했습니다. 세계에서 환경 친화기업은 어디인지를요. 그 결과 아래와 같은 답이 나왔습니다. 클릭해서 들어가니 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왔습니다. 기사를 바탕으로 10대 기업의 활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이케아 / IKEA IKEA는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위해 고객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모두에 투자를 했습니다. 스웨덴 가구 제조업자는 지속 가능한 산림 업자로부터 목재의 50% 가까운 양을 공급하고, Better cotton 표준을 충족하는 농장에서 면화 100%를 공급하여..
[문화] 나비(Butterfly)를 소재로한 다양한 콘텐츠 활용법 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제가 '박주호 ♥ 안나'님의 아들 박건후(Aciel) 팬(?)이거든요! 랜선이모라고 하는 게 더 맞을 거 같아요. 건후 어머니의 안나님 인스타에 올라온 건후 게시물을 보다 갑자기 '나비 콘텐츠'에 대해 찾아보고 싶어 졌어요! 그래서 이번 게시물은 나비를 소재로 해서 어떤 콘텐츠들이 있는지 공부하겠습니다. Instagram의 Anna님: “Aciel takes on the harder words, like 'Schmetterling' 🦋 🦋슈메테를링🦋 . Almost a week of s 좋아요 331.6천개, 댓글 5,850개 - Instagram의 Anna(@msannapark)님: "Aciel takes on the harder words, like 'Schme..
[미디어커머스] 새로운 유통방식 X 브랜드엑스, 코스닥 예비심사 청구승인 업계 최초 상장 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공부 주제는 '온라인 시대'에 새로운 유통방식이자 마케팅 역할 등을 하는 '미디어커머스'입니다. 미디어커머스 기업은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을 할 때 피드 중에 독특한 영상을 보신 적이 있으실 텐데요. 가령 화장을 쉽게 하는 법이라던지,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보이는 바디용품 등과 같이 짧은 광고를 볼 수 있었을 겁니다. 이렇게 2015년부터 SNS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기 시작한 것이 '미디어커머스' 기업입니다. 그럼 미디어커머스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미디어커머스란? 온라인에 특화된 홍보, 마케팅과 브랜드 연구개발 능력을 바탕으로 소비자와 호흡하는 기업입니다. 미디어커머스(Media Commerce)란 콘텐츠를 활용해 고객에 큐레이션하는 이커머스 ..
국가-도시 브랜딩(Branding) 사례 DB 모음_아시아(Asia), 중동(Middle East) 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유럽 국가 도시별 브랜딩 사례 DB소개에 이어, 아시아와 중동 국가의 도시별 브랜딩을 공유합니다. 조사시점은 2019년 여름에 이뤄진 곳이고요. 제 파일 속에서 숨쉬고 있던 자료에요. 도시 브랜딩에 관심 있으신분들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내용 정리하겠습니다. ■ 아시아&오세아니아 / Asia & Oceania 아시아는 일본,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베트남의 도시들이고, 오세아니아는 호주와 뉴질랜드 도시로 구성됩니다. ◎ 일본 / Japan 1. 도교 ' &TOKYO ' 2020년 도쿄올림픽 및 패럴림픽 개최를 계기로 여행지로서 도쿄를 해외관광객에게 홍보하는 목적 전통과 혁신이 교차하며 항상 새로운 스타일이 탄생하는 다양한 즐거움을 약속하는 도시 도쿄를표현하고, 도..
국가-도시 브랜딩(Branding) 사례 DB 모음_유럽(Europe) 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서울 주요 명소를 다니면 'I SEOUL U'라는 서울특별시 브랜드를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시별 브랜딩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데요. 이는 관광의 주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또 개인적으로 브랜딩에도 관심이 많아서, 지난해 대륙을 기준으로 도시별 브랜딩 DB를 정리했던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들이 상품 제안과 기획 단계 등에 있어서 콘텐츠를 구축하고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 요긴하게 쓰이거든요. 제 파일에만 잠자고 있던 도시 브랜딩 DB 함께 공유합니다. (조사시점 : 2019년 어느 여름날들) ■ 유럽 / Europe 유럽을 떠올리면 랜드마크로 떠오르는 곳이 많이 있습니다. 이건 도시 브랜딩의 성공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각 도시별로 브랜딩을 어떻게 하..
필환경 시대, 한국판 '그린 뉴딜' 계획으로 살펴본 대한민국 미래 모습 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뉴딜의 구조는 2+1 정책방향으로 '디지털 뉴딜, 그린뉴딜, 안전망 강화'로 이루어집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디지털 뉴딜'과 '안전망 강화'보다 '그린뉴딜'에 더욱 관심이 갔습니다. 기후 위기에 살고 있는 우리 시대에 정부가 계획한 환경 정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경지식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의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2. 그린 뉴딜 □ 배경 : 코로나19 계기로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사회 전환 중요성 부각 □ 추진방향 : 인프라·에너지 녹색전환 + 녹색산업 혁신 → 탄소중립(Net-zero) 사회 지향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등 차질없이 이..
[관광] 팬데믹 이후 세계 3대 전시회 CES, MWC, IFA 행보는? 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3대 전시회인 CES, MWC, IFA 행보에 대해 살펴보고자 각 전시회별 공식홈페이지로 랜선탐구를 했습니다. 3대 행사는 매년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총망라 소개되는 장으로 전 세계의 이목이 주목되는 행사입니다. 우리의 삶이 갈수록 기술과 밀접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 최고 기업들의 비즈니스 변화를 주도할 핵심기술을 볼 수 있다는 점에 관심이 뜨겁습니다. 따라서 매년 미국, 스페인, 독일에는 기업, 기자, 테크에 관심있는 사람 등 누구나 참여해서 혁신을 경험하기 위해 이곳을 찾습니다. 한편, 올해는 팬데믹으로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행사의 핵심인 대면이 외면받는 시대가 왔기 때문이죠.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매년 1월에 열리는 ..
[관광] '언컨택트' 책 읽으며 찾아본 MICE산업 현재-미래 모습 모음 안녕하세요. 매일 공부하는 나루입니다. 지인의 추천으로 읽게된 '언컨택트'에서 밑줄까지 치면서 열심히 읽은 'Part2. 비즈니스에서 언컨택트-대규모 컨퍼런스와 전시회의 진짜 목적은 교류다'라는 부분입니다. 김용섭 작가는 MICE산업의 현황과 미래모습을 다음과 같이 진단합니다. 본론에 들어가기 전, MICE란? MICE산업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 싱가프로, 홍콩, 말레이시아와 같은 동남아시아 지역의 국가가 컨벤션산업을 계기로 경제 도약의 전기를 맞이하면 등장했습니다. MICE는 기업회의(Meeting), 인센티브관광(Incenvtive Tour), 국제회의(Convention), 전시(Exhibition)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에서 첫 머리를 딴 것으로 대규모로 조직된 집단이 특정한 목적을 띠고 건..